- [성경본문] 신명기21:15-23 개역개정
-
15. 어떤 사람이 두 아내를 두었는데 하나는 사랑을 받고 하나는 미움을 받다가 그 사랑을 받는 자와 미움을 받는 자가 둘 다 아들을
16. 자기의 소유를 그의 아들들에게 기업으로 나누는 날에 그 사랑을 받는 자의 아들을 장자로 삼아 참 장자 곧 미움을 받는 자의 아들보다 앞세우지 말고
17. 반드시 그 미움을 받는 자의 아들을 장자로 인정하여 자기의 소유에서 그에게는 두 몫을 줄 것이니 그는 자기의 기력의 시작이라 장자의 권리가 그에게 있음이니라
18. 사람에게 완악하고 패역한 아들이 있어 그의 아버지의 말이나 그 어머니의 말을 순종하지 아니하고 부모가 징계하여도 순종하지
19. 그의 부모가 그를 끌고 성문에 이르러 그 성읍 장로들에게 나아가서
20. 그 성읍 장로들에게 말하기를 우리의 이 자식은 완악하고 패역하여 우리 말을 듣지 아니하고 방탕하며 술에 잠긴 자라 하면
21. 그 성읍의 모든 사람들이 그를 돌로 쳐죽일지니 이같이 네가 너희 중에서 악을 제하라 그리하면 온 이스라엘이 듣고 두려워하리라
22. 사람이 만일 죽을 죄를 범하므로 네가 그를 죽여 나무 위에 달거든
23. 그 시체를 나무 위에 밤새도록 두지 말고 그 날에 장사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기업으로 주시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나무에 달린 자는 하나님께 저주를 받았음이니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본문 / 신명기 21 : 15 ~ 23
15~17절은 상속법과 관련된 규례다.
특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상속의 원리를 가르친다. 어떤 사람이 두 아내를 두었는데 한 아내는 사랑하고 한 아내는 미워했다. 두 아내 모두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미워하는 아내가 먼저 아들을 낳았고, 사랑하는 아내가 뒤에 아들을 낳았다. 이 두 아들에게 상속할 때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 먼저 낳은 장자에게 두 몫을 지불해야 한다.
감정적으로는 사랑하는 아내가 낳은 아들에게 마음이 기울어질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부모의 마음이 가는대로 결정하라고 하지 않고 하나님이 직접 원칙을 정하신다. 장자에게 두 몫을 상속하라 한다. 비록 미워하는 아내가 낳은 아들이라 하더라도 장자면 하나님이 정한 원칙대로 두 몫을 상속해야 한다.
가정의 질서를 세우려면 장자의 권위를 세워주어야 한다. 지금은 핵가족을 이루고 있어 따로 떨어져 살지만 이전에는 대가족을 이루었다. 결혼해도 분가하지 않고 같이 살았다. 많은 가족이 같이 살려면 질서가 필요하다. 질서가 서지 않으면 혼란을 가져온다. 가정의 질서를 세우기 위해서 장자의 권위를 세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마음이 가는 아들에게 더 많이 상속하면 가족 관계에 문제가 발생한다. 형제들 사이에 시기와 다툼이 발생하고, 부모 자식간에도 불편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사로운 감정으로 상속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어떻게 하는 것이 가족 전체의 질서를 유지하고, 가문을 잘 이어갈 수 있는 길인지 생각해서 신중하게 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법적으로는 아들 딸 구분하지 않고 동일 지분으로 상속하도록 되어 있다. 부모의 유언장이 있는 경우는 유언장을 우선으로 해야 하고, 유언장이 있는 경우라도 최소한 0.5/N를 주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유류분’이라고 한다. 지금은 대가족 제도가 아니고 각각 떨어져 사는 핵가족 제도이고, 장자가 부모를 모시거나 가정의 대소사를 맡아서 하지 않기에 이렇게 법을 제정하였다.
본문에 나온 상속 원칙은 당시 상황에서 적용되는 법이고, 환경이 많이 바뀐 지금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가정의 질서를 세우고 가문을 건강하게 세우기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잘 생각해서 가족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결정을 내리도록 해야 한다.
18~21절을 패역한 불효자를 처벌하는 규례다.
18절 “사람에게 완악하고 패역한 아들이 있어 그의 아버지의 말이나 그 어머니의 말을 순종하지 아니하고 부모가 징계하여도 순종하지 아니하거든”
완악하고 패역한 아들이 아버지와 어머니의 말을 순종하지 않고 징계하여도 순종하지 않을 경우 부모는 이 아들을 성읍 장로들에게 데려가서 아들의 행동을 고해야 한다. 그러면 성읍 모든 사람이 그를 돌로 쳐 죽이라 한다.
이렇게 엄중하게 처벌하는 것은 이스라엘에 악을 제거하고, 이를 본 다른 자녀들이 패역한 짓을 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서다.
십계명에서 5계명이 “네 부모를 공경하라!”이다. 인간관계에서 지켜야 할 첫 번째 계명으로 부모를 공경하는 것은 자녀의 가장 기본이 되는 도리다.
부모를 공경할 때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모를 공경하지 않는 자녀를 교육하려면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당시는 학교 교육이 없었다. 교육은 가정에서 이루어졌고, 교육의 주체가 부모다. 신앙교육을 비롯하여 생활교육을 부모가 가르친다.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부모의 권위를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의 말씀에 순종하도록 해야 한다.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가정과 사회에 해악을 끼칠 수 있고, 무엇보다 자녀의 인생이 불행하게 된다. 교육을 통하여 건강하고 올바른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패역한 아들을 돌로 쳐서 죽이라는 법이 가혹하게 보일 수 있다. 만약 현대에 이 법을 적용하여 실시한다면 많은 비난이 쏟아질 것이다. 이 법은 패역한 아들을 죽이는 게 목적이 아니고, 아이들이 패역하지 못하도록 막는 강력한 제어장치로서 주신 법이다.
최근 촉범 소년의 범죄가 사회 문제가 되어 이를 없애자는 의견이 있다. 14세 이하의 청소년이 범죄행위를 하였을 경우 형사상 책임을 묻지 않고, 전과 기록에도 올리지 않고 보호처분을 받는다. 이를 악용하는 청소년들이 있다. 자신들은 처벌받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흉악한 범죄를 저지른다. 이들이 성인이 되면 어떻게 될까? 심히 염려가 된다. 촉법 소년법은 아직 철들지 않은 아이에게 형사상 처벌을 내리는 것이 가혹하고, 이들을 보호해 주어야 한다는 뜻에서 만들어졌지만 이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어떻게 하는 것이 아이들을 올바르고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게 할 수 있는지 생각하면서 청소년들을 선도해야 한다.
무엇보다 자녀들이 부모를 공경하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지켜질 때 바른 자녀 교육이 가능하고, 자녀도 올바르게 성장하여 자기 역할을 잘 수행하며 가정과 사회에 기여하는 자가 될 수 있다.
22,23절은 나무에 매달아 처형한 자의 시신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말씀한다.
“사람이 만일 죽을 죄를 범하므로 네가 그를 죽여 나무 위에 달거든 그 시체를 나무 위에 밤새도록 두지 말고 그 날에 장사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기업으로 주시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나무에 달린 자는 하나님께 저주를 받았음이니라”
죽을 죄를 범하여 나무에 달아 처형했을 경우 그 시체를 밤새도록 두지 말고, 당일에 장사하여 땅을 더럽히지 말라 한다. 나무에 달린 자는 하나님께 저주를 받은 자이므로 그대로 두면 그 시신으로 인하여 그 땅이 부정하게 된다.
율법에서 죽은 시신을 부정하게 여긴다. 그래서 죽은 시신은 진영 안에 둘 수 없고, 시신을 가까이한 자도 부정하기에 정결 의식을 행해야 진영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신 곳이 골고다이다. 예루살렘 성 밖이다. 예루살렘 성을 거룩하게 구별하였기에 성내에서는 십자가형을 집행할 수 없었고, 성 밖에서 십자가형을 집행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중요한 영적 의미가 있다. 히13:12절에서 “그러므로 예수도 자기 피로써 백성을 거룩하게 하려고 성문 밖에서 고난을 받으셨느니라” 하였다. 예수님은 자기 백성을 거룩하게 하시려고 성문 밖에서 고난을 받으셨다. 예수님은 죄가 없지만 우리를 대신하여 저주받은 나무 십자가에 달리심으로 우리를 거룩하게 하셨다.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려고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의 은혜를 기억하고 거룩하게 구별된 자로 살아가는 저와 여러분이 되길 바란다.
댓글0개